■ GRID Computing

GRID 컴퓨팅은 서버, 스토리지 시스템, 네트워크를 하나의 큰 시스템으로  통합하여 개별 사용자들에게 멀티 시스템 리소스들을 전달하며, 사용자, 데이터 파일, 어플리케이션 등에 있어 시스템이란 하나의 거대한 가상 컴퓨팅 환경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지리적으로 분산된 컴퓨터, 대용량 데이터베이스, 각종 정보통신 첨단장비 등 서로 다른 기종의 컴퓨터들을 묶어 가상의 대용량 고성능 컴퓨터를 구성하여 고도의 연산 또는 대용량 연산을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격자선"이라는 뜻을 가진 GRID는 전력을 공급하는 전기 배선(power grid)과 흡사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며, 1998년 미국 시카고대학 컴퓨터공학과 교수인 이안 포스터가 GRID이론을 창시하였다. GRID는 현재의 인터넷 방식인 월드 와이드 웹과 달리 컴퓨터의 처리능력을 한곳으로 집중시킬 수 있는 인터넷망으로 현재 세계적으로 연구가 진행 중인 차세대 인터넷망이다.

 

이 기술을 이용할 경우 각 지역의 슈퍼컴퓨터와 일반컴퓨터를 연결시켜 그 기능들을 더욱 심도 깊게 동신할 수 있으며, 또한 다른 기기들의 전산 자원 또는 스토리지 자원들을 사용함으로써 컴퓨터의 처리능력을 한곳으로 모아 가장 중요한 업무에 집중 사용할 수 있게 한다.

 

■ Ubiquitous Computing

언제, 어디서나 널리 존재한다는 의미의 라틴어 ubiquitous와 computing의 합성어로, 사용자가 컴퓨터나 네트워크를 의식하지 않고 장소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을 말한다. 즉, 어떤 기기나 사물에 제 각각의 역할이 부합되는 컴퓨터 기능과 네트워크 장치를 넣어 물체 간, 또는 물체와 인간 간의 효과적인 정보 교환 및 활용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개념이다.

 

1988년 미국 제록스사 팰러 앨토 연구소(PARC)의 Mark Weiser가 유비쿼터스 컴퓨팅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 처음으로 등장하였다. 당시 Weiser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메임프레임과 퍼스널 컴퓨터에 이어 제3의 정보혁명을 이끌 것이라고 주장하였는데, 단독으로 쓰이지 않고 유비쿼터스 통신,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등과 같은 형태로 쓰일 것으로 예측하였다. 다시 말해, 컴퓨터에 어떠한 기능을 추가한 것이 아니라 냉장고, 자동차, 안경, 오디오, 시계 등과 같이 어떤 기기나 사물에 컴퓨터를 집어넣어  커뮤티케이션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정보기술 환경의 변화를 의미하는 것이다.

 

개인휴대정보단말기(PDA), 인터넷 TV, 스마트 폰 등 휴대성 및 편의성을 함께 갖춘 정보통신 기기들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를 넘어서는 시스템으로, 무선 통신망을 통해 인터넷과 연결해 정보 처리가 가능해지고 있으며 관련 기술과 제품의 발전으로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급속한 발전과 확대가 기대된다.  

Posted by Gwoong
,